WWE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WE 챔피언십은 1963년 버디 로저스를 초대 챔피언으로 시작된 프로레슬링 세계 챔피언십이다. WWWF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으로 시작하여 WWF 헤비급 챔피언십, WWF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 WWF 챔피언십, 통합 WWF 챔피언십, WWE 챔피언십 등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쳤다. 2002년 브랜드 분할 이후 WWE 챔피언십은 Raw, 스맥다운, ECW 브랜드 사이를 이동했으며, 2013년에는 WWE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과 통합되기도 했다. 2022년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과 통합되었으며, 2024년 4월 3주차에 통합 WWE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역대 최다 챔피언 등극은 존 시나의 13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WWE 챔피언십 - WWE 태그팀 챔피언십
WWE 태그팀 챔피언십은 스맥다운 브랜드의 태그팀 활성화를 위해 2016년 창설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라이노와 히스 슬레이터가 초대 챔피언이며, 디 우소즈가 최장수, 더 뉴 데이가 최단 기간 챔피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WWE 챔피언십 -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WWE)은 WWE의 태그팀 레슬링 챔피언십으로, 2002년 WWE RAW에서 처음 시작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통합 과정을 거쳐 2024년 4월 15일부터 현재의 명칭을 사용한다. - 1963년 설립 -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대한민국의 선거를 관리하는 독립 헌법기관으로, 9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공직선거, 정당 및 정치자금 관리, 민주시민 교육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선거 중립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 1963년 설립 - 도치기 방송
도치기 방송은 도치기현을 대상으로 하는 중파 라디오 방송국으로, 간토 지방 독립 방송국들과 교류하며 JRN/NRN 계열 프로그램도 방송하고, 도치기 TV 설립 참여 및 FM 보완 중계국 운영, 흑우 교도소 방송 제작 등 지역 사회 공헌 활동을 하고 있다. - WWE의 챔피언십 틀 목록 - 로디 파이퍼
로디 파이퍼는 로데릭 조지 툼스라는 본명을 가진 캐나다 출신의 프로레슬러이자 배우로,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NWA와 WWF에서 활동하며 "파이퍼스 핏" 인터뷰 코너 진행 및 헐크 호건 등과의 대립으로 인기를 얻었고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은퇴 후에는 영화 《그들이 사는 세상》에 출연하는 등 배우로도 활동했다. - WWE의 챔피언십 틀 목록 - 셰인 맥마흔
미국의 사업가이자 프로레슬러인 셰인 맥마흔은 빈스 맥마흔과 린다 맥마흔의 아들이며, WWE에서 선수 및 경영진으로 활동하며 유러피언 챔피언십, 하드코어 챔피언십,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고 WWE 월드컵에서 우승했으며, WWE 외에 유 온 디맨드 CEO, 인터내셔널 스포츠 매니지먼트 이사 등을 역임했다.
WWE 챔피언십 | |
---|---|
이미지 | |
![]() | |
기본 정보 | |
현재 챔피언 | 코디 로즈 |
획득일 | 2024년 4월 7일 |
브랜드 | 스맥다운 |
창설일 | 1963년 4월 25일 |
초대 챔피언 | 버디 로저스 |
최다 챔피언 | 존 시나 (13회) |
최장 기간 챔피언 | 브루노 삼마르티노 (1대, 2803일) |
최단 기간 챔피언 | 앙드레 더 자이언트 (1분 48초) |
최고령 챔피언 | 미스터 맥마흔 (54세 22일) |
최연소 챔피언 | 브록 레스너 (25세 44일) |
최중량 챔피언 | 요코즈나 (258kg) |
최경량 챔피언 | 레이 미스테리오 (79kg) |
과거 명칭 | |
과거 명칭 | WWWF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 (1963–1971) WWWF 헤비급 챔피언십 (1971–1979) WWF 헤비급 챔피언십 (1979–1983) WWF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 (1983–1989) WWF 챔피언십 (1989–2001) 통합 WWF 챔피언십 (2001–2002) 통합 WWE 챔피언십 (2002, 2011, 2024–현재) WWE 통합 챔피언십 (2002) WWE 챔피언십 (2002–2013, 2016–현재) WWE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 (2013–2016) WWE 월드 챔피언십 (2016) 통합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 (2022–2024) |
2. 역사
WWE 챔피언십은 1963년 1월 25일, WWE의 전신인 WWWF(월드 와이드 레슬링 페더레이션)가 설립되기 이전에 탄생했다. 초대 챔피언은 버디 로저스였으며, 그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토너먼트에서 안토니오 로카를 꺾고 챔피언에 올랐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토너먼트는 실제로 개최되지 않았고, 빈스 맥마흔 시니어 등 북동부 프로모터들이 NWA를 탈퇴하고 로저스를 초대 챔피언으로 내세워 WWWF를 결성한 것이었다.[129][130]
초기에 로저스의 타이틀은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으로 불렸으나, 4월부터 '''WWWF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으로 확정되었다.[131] 1963년 5월 17일, 브루노 사마르티노가 로저스를 꺾고 제2대 챔피언이 되었으며, 이후 약 8년간 챔피언 자리를 지켰다.[129] 1971년, 페드로 모랄레스가 새로운 챔피언이 되었고, WWWF가 NWA에 가입하면서 타이틀은 '''WWWF 헤비급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129][132] 이후 슈퍼스타 빌리 그래햄, 밥 백런드 등이 챔피언에 올랐다.
1979년, 단체명이 WWF(월드 레슬링 페더레이션)로 변경되면서 타이틀도 '''WWF 헤비급 챔피언십'''이 되었다.[129] 같은 해 안토니오 이노키가 챔피언에 등극하기도 했으나, WWE는 공식적으로 이노키를 역대 챔피언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1984년, 빈스 맥마흔 주니어 체제 하에서 WWF는 헐크 호건을 중심으로 챔피언십 경쟁을 이끌었다. 다시 NWA를 탈퇴하면서 타이틀은 '''WWF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129] 랜디 새비지, 얼티밋 워리어 등도 챔피언에 올랐다. 1993년 이후에는 브렛 하트, 숀 마이클스 등이 새로운 챔피언십 경쟁의 주역이 되었다.
1997년, WWF는 소프 오페라풍의 스토리, 애티튜드 노선으로 전환하며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더 락, 트리플 H 등을 중심으로 챔피언십 경쟁을 전개했다. 2001년, WWF 챔피언십과 WCW 챔피언십이 통합되어 '''WWF 통합 챔피언십(''Undisputed'' ''WWF Championship'')'''이 신설되었고, 크리스 제리코가 초대 통합 챔피언이 되었다.
2002년, 브록 레스너가 통합 챔피언에 등극하고 스맥다운 전속이 되면서, 단체 명칭 변경과 함께 WWE 챔피언십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스맥다운이 챔피언십을 관할하게 되었고, RAW에는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이 신설되었다. 2005년, 존 시나가 챔피언십을 획득하고 RAW로 이적했다. 2008년과 2009년에는 트리플 H가 챔피언십을 가진 채 스맥다운과 RAW로 각각 이적했다.
2013년, 랜디 오턴이 존 시나를 꺾고 챔피언십 통합전에서 승리하여 '''WWE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WWE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명칭은 '''WWE 챔피언십 → WWE 세계 챔피언십 → WWE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129]
2022년, 로만 레인즈가 브록 레스너를 꺾고 두 챔피언십을 통합하여 '''통합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Undisputed WWE Universal Championship'')'''의 일부가 되었다. 2024년, 챔피언십 명칭이 '''통합 WWE 챔피언십(''Undisputed WWE Championship'')'''으로 변경되었다. 역대 최다 챔피언 등극 기록은 존 시나의 13회이다.
2. 1. 탄생과 초기 (1963년 ~ 1983년)
WWE 챔피언십은 1963년 초대 챔피언 버디 로저스로부터 시작되었다.[3] 당시 WWE는 NWA(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즈)에 소속된 레슬링 단체 중 하나였는데, 1960년대에 NWA에서 분리되면서 챔피언십이 도입되었다. NWA 월드 헤비급 챔피언이었던 버디 로저스는 루 테즈에게 타이틀을 넘겨주고 WWE(당시 WWWF)로 이적하여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WWWF는 캐피톨 레슬링 코퍼레이션(CWC)이 NWA에서 탈퇴하여 만들어진 단체였다.[3] CWC는 버디 로저스가 루 테즈에게 NWA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을 빼앗기자, 타이틀 경쟁 방식에 이의를 제기하며 NWA에서 탈퇴했다. 이후 WWWF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을 신설하고,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가상의 토너먼트에서 버디 로저스가 안토니노 로카를 꺾고 우승했다는 설정을 덧붙여 그에게 챔피언십을 수여했다.[3]
처음에는 이 타이틀이 '''WWWF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으로 불렸고, 페드로 모랄레스가 챔피언이 된 후에는 '''WWWF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79년, WWWF가 WWF(월드 레슬링 페더레이션)로 변경되면서 챔피언십 이름도 '''WWF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 1983년에는 '''WWF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1990년대에는 '''WWF 챔피언십'''으로 간략하게 변경되었다.
WWWF는 NWA와 다시 제휴를 맺으면서 챔피언십을 지역 헤비급 챔피언십으로만 인정하기로 했으나,[4] 1983년 NWA와의 제휴를 완전히 끝내면서 "세계 챔피언십" 지위를 회복하고 WWF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브루노 사마르티노는 두 번이나 챔피언에 올랐으며, 그의 첫 번째 통치는 7년 이상(2,803일)으로 가장 길었고, 총 통치 기간도 4,040일로 가장 길다.[3]
2. 2. 헐크 호건 시대와 WWF의 성장 (1983년 ~ 1997년)
빈스 맥마흔 주니어의 새로운 체제 하에서 WWF의 전미 진출이 시작된 1984년부터는 헐크 호건을 중심으로 챔피언십 경쟁이 진행되었다. WWF는 다시 NWA에서 탈퇴했기 때문에, 타이틀 명칭도 '''WWF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으로 "세계"라는 글자가 다시 붙게 되었다.[129] 이후, 랜디 새비지나 얼티밋 워리어 등도 챔피언에 등극하며 WWF의 가족 엔터테인먼트 노선을 이끌었다. 1993년 호건이 WCW로 이적한 후에는, 뉴 제네레이션 노선으로 브렛 하트나 숀 마이클스가 챔피언십 경쟁의 주역이 되었다.
2. 3. 애티튜드 시대와 WCW와의 경쟁 (1997년 ~ 2001년)
1991년,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은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대체하기 위해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설립했다. 1993년 WCW는 NWA에서 탈퇴하여 WWF(현 WWE)의 경쟁 단체가 되었다. 두 단체는 모두 주류로 성장하여 텔레비전 시청률 경쟁을 벌였는데, 이를 '''월요일 밤의 전쟁'''이라고 불렀다.1995년부터 시청률 경쟁이 비등했지만, 1996년 WCW가 nWo(뉴 월드 오더)라는 스테이블을 만들면서 먼데이 나잇 RAW의 시청률을 82주 연속 압도했다. 그러나 1998년 중순, WWE가 성인 지향적인 애티튜드 노선을 도입하고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더 락, D-제너레이션 X와 같은 선수들을 앞세워 RAW is WAR (RAW)가 먼데이 나잇 나이트로의 시청률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2001년, WWE는 재정난을 겪던 WCW와 ECW를 인수했다. 그 결과, WWF는 WCW의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CW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WCW 크루져웨이트 챔피언십 등을 인수했다.[5]

2. 4. 브랜드 분할과 통합, 그리고 재통합 (2002년 ~ 현재)
브록 레스너가 스맥다운으로 이적하면서 WWE 통합 챔피언십을 유지하게 되었다. 에릭 비숍은 이 타이틀을 분리하여 WWE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을 만들어 러로 보냈고, 스테파니 맥맨은 통합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을 분리하여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을 만들어 스맥다운으로 보냈다.2002년부터 스맥다운 소속이었다가, 2005년 존 시나가 드래프트 로터리를 통해 스맥다운에서 RAW로 이적하면서 타이틀도 RAW로 옮겨졌다. 2006년에는 ECW의 부활로 ECW 원 나잇 스탠드에서 랍 밴 댐이 존 시나를 이기면서 ECW로 이동했다. 하지만, 7월 3일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에지가 랍 밴 댐과 존 시나를 이기고 챔피언이 되면서 다시 러 브랜드로 돌아왔다.
2008년에는 트리플 H가 드래프트 로터리를 통해 스맥다운으로 이적하며 타이틀도 스맥다운으로 옮겨졌다. 2009년에는 트리플 H가 다시 러 브랜드로 환원되었다.
2010년 일리미네이션 체임버에서는 바티스타가 존 시나를 이기면서 스맥다운 소속이 되었다가, 레슬매니아에서 시나가 바티스타를 이기면서 다시 RAW로 환원되었다.
2011년 7월 25일, CM 펑크와 존 시나가 '''공동 WWE 챔피언십'''이 되었다. 2011년 섬머슬램에서 CM 펑크가 존 시나를 이겨 '''통합 WWE 챔피언'''이 되었지만, 케빈 내쉬의 방해로 알베르토 델 리오가 머니 인 더 뱅크를 사용해 CM 펑크를 제압하며 WWE 챔피언이 되었다.
2012년 레슬매니아 이후 브랜드 통합으로 슈퍼쇼로 진행되었다. 2010년에 WWE 디바스 챔피언십과 WWE 위민스 챔피언십을 통합해서 WWE 디바스 챔피언십으로, WWE 태그팀 챔피언십과 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을 통합해서 WWE 태그팀 챔피언십으로 축소되었다. 2013년 12월 15일 TLC에서 WWE 챔피언십 대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TLC 매치에서 랜디 오턴이 존 시나를 이기면서 통합하였다. 월드 챔피언십이 통합되면서 WWE 챔피언십은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바뀌었다. 2016년 6월 27일 RAW부터 다시 '''WWE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바뀌었다가, 브랜드 분리 이후인 2016년 7월 26일 스맥다운부터는 '''WWE 월드 챔피언십'''으로 다시 한번 변경되었다. 2016년 12월 12일 다시 '''WWE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2016년에만 명칭이 3차례 변경되었다.


3. 역대 챔피언 및 기록
챔피언 | 획득 횟수 | 보유 일수 | 날짜 |
---|---|---|---|
버디 로저스[129][130] | 1 | 21일 | 1963년 1월 25일 |
브루노 삼마르티노[129] | 1 | 2803일 | 1963년 5월 17일 |
이반 콜로프 | 1 | 21일 | 1971년 1월 18일 |
페드로 모랄레스[129][132] | 1 | 1027일 | 1971년 2월 8일 |
스탄 스타시악 | 1 | 9일 | 1973년 12월 1일 |
브루노 삼마르티노 | 2 | 1237일 | 1973년 12월 10일 |
슈퍼스타 빌리 그레이엄 | 1 | 296일 | 1977년 4월 30일 |
밥 백런드[133] | 1 | 2135일 | 1978년 2월 20일 |
아이언 쉬크 | 1 | 28일 | 1983년 12월 26일 |
헐크 호건[129] | 1 | 1474일 | 1984년 1월 23일 |
앙드레 더 자이언트[1] | 1 | 0일 | 1988년 2월 5일 |
랜디 새비지 | 1 | 371일 | 1988년 3월 27일 |
헐크 호건 | 2 | 364일 | 1989년 4월 2일 |
얼티밋 워리어 | 1 | 293일 | 1990년 4월 1일 |
서전 슬로터 | 1 | 64일 | 1991년 1월 19일 |
헐크 호건 | 3 | 248일 | 1991년 3월 24일 |
언더테이커 | 1 | 6일 | 1991년 11월 27일 |
헐크 호건 | 4 | 1일 | 1991년 12월 3일 |
릭 플레어 | 1 | 77일 | 1992년 1월 19일 |
랜디 새비지 | 2 | 149일 | 1992년 4월 5일 |
릭 플레어 | 2 | 41일 | 1992년 9월 1일 |
브렛 하트 | 1 | 174일 | 1992년 10월 12일 |
요코주나 | 1 | 0일 | 1993년 4월 4일 |
헐크 호건 | 5 | 70일 | 1993년 4월 4일 |
요코주나 | 2 | 280일 | 1993년 6월 13일 |
브렛 하트 | 2 | 248일 | 1994년 3월 20일 |
밥 백런드 | 3 | 3일 | 1994년 11월 23일 |
디젤 | 1 | 358일 | 1994년 11월 26일 |
브렛 하트 | 3 | 133일 | 1995년 11월 19일 |
숀 마이클스 | 1 | 231일 | 1996년 3월 31일 |
사이코 시드 | 1 | 63일 | 1996년 11월 17일 |
숀 마이클스 | 2 | 25일 | 1997년 1월 19일 |
브렛 하트 | 4 | 1일 | 1997년 2월 16일 |
사이코 시드 | 2 | 34일 | 1997년 2월 17일 |
언더테이커 | 2 | 133일 | 1997년 3월 23일 |
브렛 하트 | 5 | 98일 | 1997년 8월 3일 |
숀 마이클스 | 3 | 140일 | 1997년 11월 9일 |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 1 | 91일 | 1998년 3월 29일 |
케인 | 1 | 0일 | 1998년 6월 28일 |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 2 | 90일 | 1998년 6월 29일 |
더 락 | 1 | 50일 | 1998년 11월 15일 |
맨카인드 | 1 | 20일 | 1999년 1월 4일 |
더 락 | 2 | 7일 | 1999년 1월 24일 |
맨카인드 | 2 | 15일 | 1999년 1월 31일 |
더 락 | 3 | 41일 | 1999년 2월 15일 |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 3 | 56일 | 1999년 3월 28일 |
언더테이커 | 3 | 36일 | 1999년 5월 23일 |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 4 | 55일 | 1999년 6월 28일 |
맨카인드 | 3 | 1일 | 1999년 8월 22일 |
트리플 H | 1 | 24일 | 1999년 8월 23일 |
빈스 맥마흔 | 1 | 4일 | 1999년 9월 16일 |
트리플 H | 2 | 49일 | 1999년 9월 26일 |
빅 쇼 | 1 | 50일 | 1999년 11월 14일 |
트리플 H | 3 | 117일 | 2000년 1월 3일 |
더 락 | 4 | 20일 | 2000년 4월 30일 |
트리플 H | 4 | 34일 | 2000년 5월 21일 |
더 락 | 5 | 118일 | 2000년 6월 25일 |
커트 앵글 | 1 | 125일 | 2000년 10월 22일 |
더 락 | 6 | 34일 | 2001년 2월 25일 |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 5 | 175일 | 2001년 4월 1일 |
커트 앵글 | 2 | 14일 | 2001년 9월 23일 |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 6 | 61일 | 2001년 10월 8일 |
크리스 제리코[8] | 1 | 97일 | 2001년 12월 9일 |
트리플 H[51] | 5 | 34일 | 2002년 3월 17일 |
헐크 호건 | 6 | 28일 | 2002년 4월 21일 |
언더테이커 | 4 | 62일 | 2002년 5월 19일 |
더 락 | 7 | 34일 | 2002년 7월 21일 |
브록 레스너[15] | 1 | 83일 | 2002년 8월 25일 |
빅 쇼 | 2 | 27일 | 2002년 11월 17일 |
커트 앵글 | 3 | 104일 | 2002년 12월 15일 |
브록 레스너 | 2 | 118일 | 2003년 3월 30일 |
커트 앵글 | 4 | 52일 | 2003년 7월 27일 |
브록 레스너 | 3 | 150일 | 2003년 9월 18일 |
에디 게레로 | 1 | 132일 | 2004년 2월 15일 |
JBL | 1 | 279일 | 2004년 6월 27일 |
존 시나[41] | 1 | 279일 | 2005년 4월 3일 |
에지 | 1 | 20일 | 2006년 1월 8일 |
존 시나 | 2 | 132일 | 2006년 1월 29일 |
롭 밴 댐[42] | 1 | 21일 | 2006년 6월 11일 |
에지[43] | 2 | 75일 | 2006년 7월 3일 |
존 시나 | 3 | 380일 | 2006년 9월 17일 |
랜디 오턴 | 1 | 0일 | 2007년 10월 7일 |
트리플 H | 6 | 0일 | 2007년 10월 7일 |
랜디 오턴 | 2 | 202일 | 2007년 10월 7일 |
트리플 H[44] | 7 | 209일 | 2008년 4월 27일 |
에지 | 3 | 20일 | 2008년 11월 23일 |
제프 하디 | 1 | 41일 | 2008년 12월 14일 |
에지 | 4 | 20일 | 2009년 1월 25일 |
트리플 H[45] | 8 | 69일 | 2009년 2월 15일 |
랜디 오턴 | 3 | 41일 | 2009년 4월 26일 |
바티스타 | 1 | 1일 | 2009년 6월 7일 |
랜디 오턴 | 4 | 89일 | 2009년 6월 15일 |
존 시나 | 4 | 20일 | 2009년 9월 13일 |
랜디 오턴 | 5 | 20일 | 2009년 10월 4일 |
존 시나 | 5 | 48일 | 2009년 10월 25일 |
셰이머스 | 1 | 69일 | 2009년 12월 13일 |
존 시나 | 6 | 0일 | 2010년 2월 21일 |
바티스타 | 2 | 35일 | 2010년 2월 21일 |
존 시나 | 7 | 83일 | 2010년 3월 28일 |
셰이머스 | 2 | 90일 | 2010년 6월 20일 |
랜디 오턴 | 6 | 63일 | 2010년 9월 19일 |
더 미즈 | 1 | 159일 | 2010년 11월 22일 |
존 시나 | 8 | 76일 | 2011년 5월 1일 |
CM 펑크 | 1 | 28일 | 2011년 7월 17일 |
레이 미스테리오 | 1 | 0일 | 2011년 7월 25일 |
존 시나 | 9 | 19일 | 2011년 7월 25일 |
알베르토 델 리오 | 1 | 34일 | 2011년 8월 14일 |
존 시나 | 10 | 13일 | 2011년 9월 18일 |
알베르토 델 리오 | 2 | 48일 | 2011년 10월 2일 |
CM 펑크 | 2 | 434일 | 2011년 11월 20일 |
더 락 | 8 | 69일 | 2013년 1월 27일 |
존 시나 | 11 | 132일 | 2013년 4월 7일 |
대니얼 브라이언 | 1 | 0일 | 2013년 8월 18일 |
랜디 오턴 | 7 | 28일 | 2013년 8월 18일 |
대니얼 브라이언 | 2 | 0일 | 2013년 9월 15일 |
랜디 오턴[17] | 8 | 160일 | 2013년 10월 27일 |
대니얼 브라이언[55] | 3 | 63일 | 2014년 4월 6일 |
존 시나 | 12 | 49일 | 2014년 6월 29일 |
브록 레스너 | 4 | 223일 | 2014년 8월 17일 |
세스 롤린스 | 1 | 220일 | 2015년 3월 29일 |
로만 레인즈 | 1 | 0일 | 2015년 11월 22일 |
셰이머스 | 3 | 22일 | 2015년 11월 22일 |
로만 레인즈 | 2 | 40일 | 2015년 12월 14일 |
트리플 H | 9 | 69일 | 2016년 1월 24일 |
로만 레인즈 | 3 | 76일 | 2016년 4월 3일 |
세스 롤린스 | 2 | 0일 | 2016년 6월 19일 |
딘 앰브로스[18][19][20] | 1 | 83일 | 2016년 6월 19일 |
AJ 스타일스[23][24] | 1 | 140일 | 2016년 9월 11일 |
존 시나[25] | 13 | 14일 | 2017년 1월 29일 |
브레이 와이어트 | 1 | 48일 | 2017년 2월 12일 |
랜디 오턴 | 9 | 49일 | 2017년 4월 2일 |
진더 마할[26] | 1 | 169일 | 2017년 5월 21일 |
AJ 스타일스 | 2 | 371일 | 2017년 11월 7일 |
대니얼 브라이언 | 4 | 144일 | 2018년 11월 13일 |
코피 킹스턴 | 1 | 180일 | 2019년 4월 7일 |
브록 레스너[28] | 5 | 184일 | 2019년 10월 4일 |
드류 매킨타이어 | 1 | 202일 | 2020년 4월 5일 |
랜디 오턴 | 10 | 22일 | 2020년 10월 25일 |
드류 매킨타이어 | 2 | 96일 | 2020년 11월 16일 |
더 미즈 | 2 | 8일 | 2021년 2월 21일 |
바비 래슐리 | 1 | 195일 | 2021년 3월 1일 |
빅 E | 1 | 110일 | 2021년 9월 13일 |
브록 레스너 | 6 | 27일 | 2022년 1월 1일 |
바비 래슐리 | 2 | 20일 | 2022년 1월 29일 |
브록 레스너 | 7 | 43일 | 2022년 2월 19일 |
로만 레인즈[29] | 4 | 735일 | 2022년 4월 3일 |
코디 로즈[35][36] | 1 | 일 | 2024년 4월 7일 |
- 초대 챔피언: 버디 로저스
- 최장수 챔피언: 브루노 삼마르티노 (2803일)[128]
- 최단 기간 챔피언: 앙드레 더 자이언트 (45초)[1]
- 최다 챔피언: 존 시나 (13회)[127]
- 최중량급 챔피언: 요코주나 (261kg)
- 최경량급 챔피언: 레이 미스테리오 (79kg)
- 최고령 챔피언: 빈스 맥마흔 (54세 27일)
- 최연소 챔피언: 브록 레스너 (25세 44일)[127]
- 현 챔피언: 코디 로즈
분류:WWE 챔피언십
분류:1963년 설립
분류:2024년 폐지
4. 역대 타이틀 명칭 변화
타이틀 명칭 | 연도 |
---|---|
WWWF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963년~1971년 |
WWWF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971년~1979년 |
WWF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979년~1983년 |
WWF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983년~1998년 |
WWF 챔피언십 | 1998년~2001년 |
통합 WWF 챔피언십 | 2001년~2002년 |
WWE 통합 챔피언십 | 2002년 |
WWE 챔피언십 | 2002년~2013년 2016년~현재 |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2013년~2016년 |
WWE 월드 챔피언십 | 2016년 |
WWE 챔피언십은 1963년 초대 챔피언 버디 로저스로부터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WWWF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불렸다가, 페드로 모랄레스 때 WWWF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
1979년 WWWF가 WWF로 변경되면서 밥 백런드가 지키고 있던 이 타이틀은 WWF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 1983년에는 WWF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990년대에는 WWF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
2001년에는 WCW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통합 WWF 챔피언십이 되었고, 2002년 WWE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WWE 통합 챔피언십이 되었다. 이후 다시 WWE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가, 2013년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통합되었다. 2016년 다시 WWE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5. 디자인
WWE 챔피언십 벨트는 초대 챔피언 버디 로저스가 사용한 벨트부터 시작하여 여러 디자인 변화를 거쳤다.
1963년 처음 도입된 WWWF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은 버디 로저스가 사용했던 미국 챔피언십 벨트를 기반으로 했다. 이 벨트는 미국 본토 윤곽이 새겨진 중앙 장식판과 레슬러들이 새겨진 두 개의 방패 모양 측면 장식판이 특징이었다. 빨간색 가죽 끈에 부착된 중앙 장식판에는 레슬러들로 둘러싸인 원이 있었고, 챔피언의 사진을 넣을 수 있게 디자인되었다. 원 위에는 방패와 독수리, 그리고 별들이 있었다. "세계 챔피언"이라는 문구가 원 아래에 추가되었다. 이 벨트는 버디 로저스와 브루노 사마르티노가 사용했다.[46]
사마르티노가 챔피언이 된 후, 1965년까지 파란색 끈에 새로운 벨트가 만들어졌다. 확대된 중앙 장식판에는 왕관을 쓴 지구본과 두 명의 레슬러가 있었고, "WWWF 세계 챔피언"이라고 적혀 있었다. 두 개의 측면 장식판은 사마르티노의 챔피언 등극을 기념했다. 이 벨트는 1965년 9월 도난당했고, 측면 장식판 디자인이 약간 다른, 거의 비슷한 디자인의 새로운 벨트가 만들어졌다. 이것은 1971년까지 사용되었고 "프로레슬링 유물의 성배"라고 불리는 사마르티노 벨트의 가장 잘 알려진 버전이다. 1971년 1월 사마르티노를 물리친 이반 콜로프는 사마르티노의 벨트를 3주 동안 소지한 후 페드로 모랄레스에게 잃었다.[47][48][49][50]
모랄레스의 통치 기간 동안 챔피언십 벨트는 여러 번 업데이트되었다. 1971년 디자인은 인디고색 끈에 세 개의 방패 모양 장식판을 포함했다. 중앙 장식판 아래에는 "세계 헤비급 챔피언"이라는 문구와 십자가가 있었고, 별도의 가로 장식판에는 "WWWF"라고 적혀 있었다. 1972년에는 빨간색 끈에 "WWWF 헤비급 레슬링 챔피언"이라는 문구가 가장자리에 적혀 있고 중앙에 독수리가 있는 디자인으로 교체되었다. 여섯 개의 측면 장식판은 여러 국가를 나타냈다. 1973년에는 검은색 끈에 다르게 디자인된 독수리 위에 두 명의 레슬러가 있는 또 다른 비슷한 디자인이 도입되었다. 이 버전은 스탠 스타시아크, 브루노 사마르티노, 슈퍼스타 빌리 그레이엄(빨간색 가죽 변형 버전 착용), 밥 백런드가 보유했다. 밥 백런드 통치 기간 동안 프로모션 이름은 월드 레슬링 페더레이션(WWF)으로 단축되었지만, 챔피언십 벨트 자체에는 여전히 "WWWF"라고 적혀 있었다.[49][50]
특정 챔피언의 업적을 기념하거나 캐릭터에 맞추기 위해 맞춤형 챔피언십 벨트가 제작되기도 했다. 1986년 헐크 호건은 자신의 사진이 들어간 수정된 버전의 호건 '86 벨트를 사용했지만, 곧 호건 '86 버전으로 돌아갔다. 앙드레 더 자이언트를 위해 호건 '86 챔피언십 벨트와 유사한 더 큰 버전이 만들어졌지만, 그는 챔피언으로서 이 벨트를 착용하지 않았다.[73][49]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은 두 번째 통치 기간(1998년) 동안 "스모킹 스컬" 로고와 방울뱀이 포함된 맞춤형 벨트를 사용했다. 더 락 또한 "브라마 불" 로고를 포함한 맞춤형 벨트를 디자인했지만, TV에는 등장하지 않았다.[74] 존 시나를 위해 만들어진 스피너 벨트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표준 타이틀 벨트로 사용되었다. 에지는 2006년 두 번째 통치 기간 동안 WWE 로고를 자신의 "레이티드 R 슈퍼스타" 로고로 바꾼 "레이티드 R 스피너" 디자인을 선보였다. 에지는 완전히 새로운 맞춤형 디자인을 스케치했지만, 제작되지는 않았다.[75][49] 다니엘 브라이언은 네 번째 통치 기간(2018~2019년) 동안 표준 타이틀 벨트를 버리고 "플래닛 챔피언십"이라는 새로운 맞춤형 벨트를 소개했다. 이 벨트는 대마로 만든 스트랩, 자연적으로 쓰러진 참나무 나무로 조각한 중앙 및 측면 플레이트 등 지속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졌다.[77]
2023년 6월 2일, 트리플 H는 로만 레인스에게 통합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을 나타내는 새로운 단일 챔피언십 벨트를 수여했다.[33]
5. 1. 1963-1982
WWE 챔피언십의 역사는 1963년 초대 챔피언 버디 로저스로부터 시작된다. 당시 WWE는 WCW, ECW, TNA처럼 NWA(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에 속해 있었던 레슬링 단체였다. 1960년대 분리 시기에 NWA 월드 헤비급 챔피언이었던 버디 로저스가 루 테즈에게 타이틀을 내주고 WWE(당시 WWWF)로 이적하면서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
처음에는 WWE가 WWWF(월드 와이드 레슬링 페더레이션)이었을 때 이 타이틀은 '''WWWF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이었다. 페드로 모랄레스로부터는 '''WWWF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8년 후 WWWF가 WWF(월드 레슬링 페더레이션)으로 변경되면서 밥 백런드가 지키고 있던 이 타이틀은 '''WWF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 1983년에는 '''WWF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었으며, 1990년대에는 간단하게 '''WWF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



1963년 버디 로저스(Buddy Rogers)가 첫 번째 챔피언이 되면서 타이틀이 도입되었다. 그 배경은 여러 지역 단체들을 거느린 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NWA)에서 시작되었다. 1950년대 캐피톨 레슬링 코퍼레이션(CWC)은 NWA의 회원이었다. 1963년까지 CWC는 NWA 운영권을 장악하게 되었고, 이 기간 동안 버디 로저스는 NWA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을 보유했다. 하지만 1월 24일, 1회전 경기에서 루 테즈에게 챔피언십을 빼앗겼다.[3] CWC는 타이틀 경쟁은 전통적인 2전 3선승제로만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타이틀 변경에 이의를 제기했고, NWA에서 탈퇴하여 월드 와이드 레슬링 페더레이션(WWWF)이 되었다. 그 후 WWWF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이 신설되었고, 버디 로저스에게 수여되었는데,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허구의 토너먼트에서 우승, 결승전에서 안토니노 로카를 물리쳤다는 설명이 덧붙여졌다.[3]
수년 후 WWWF는 NWA와 다시 제휴를 맺었다. 재가입 조건 중 하나는 챔피언십을 더 이상 "세계 챔피언십"으로 인정하지 않고 지역 헤비급 챔피언십으로만 인정한다는 것이었다.[4] 1979년 WWWF는 월드 레슬링 페더레이션(WWF)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1983년 NWA와의 제휴를 완전히 끝낸 후 "세계 챔피언십" 지위를 회복하고 WWF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98년까지 챔피언십 벨트에 전체 이름이 표시되었지만, 이름은 종종 WWF 챔피언십으로 줄여 사용되었고, 1998년 공식 명칭이 되었다.
1963년에 처음 도입된 원본 WWWF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은 버디 로저스가 초대 WWWF 세계 챔피언이 되기 전 여러 지역에서 방어했던 미국 챔피언십 벨트로 표현되었다. 이 벨트의 중앙 장식판에는 미국 본토의 윤곽이 새겨져 있었고, 레슬러들이 새겨진 두 개의 방패 모양의 측면 장식판이 있었다. 장식판들은 빨간색 가죽 끈에 달려 있었다. 중앙 장식판에는 레슬러들 사이에 둘러싸인 원이 있었고, 이 원에는 챔피언의 사진이 들어갈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원 위에는 방패가 있었고, 방패 위에는 독수리가, 방패 양쪽에는 별이 있었다. "세계 챔피언"이라는 문구가 원 아래에 추가되었다. 이 챔피언 벨트는 1963년 초대 챔피언 버디 로저스와 두 번째 챔피언 브루노 사마르티노가 착용했다.[46]
사마르티노가 챔피언이 된 후, 파란색 끈에 새로운 챔피언 벨트가 만들어져 1965년까지 사용되었다. 확대된 중앙 장식판에는 왕관을 쓴 지구본과 두 명의 레슬러가 있었고, "WWWF 세계 챔피언"이라고 적혀 있었다. 두 개의 측면 장식판은 사마르티노의 챔피언 등극을 기념했다. 이 벨트는 1965년 9월 도난당했고, 측면 장식판 디자인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거의 비슷한 디자인의 새로운 벨트가 만들어졌다. 이것은 1971년까지 사용되었고 "프로레슬링 유물의 성배"라고 불리는 사마르티노의 벨트에서 가장 알아볼 수 있는 버전이다. 1971년 1월 사마르티노를 물리친 이반 콜로프는 사마르티노의 벨트를 3주 동안 소지한 후 페드로 모랄레스에게 잃었다.[47][48][49][50]
모랄레스의 통치 기간 동안 챔피언십 벨트는 여러 번 업데이트되었다. 먼저 1971년, 이 디자인은 인디고색 끈에 세 개의 방패 모양의 장식판을 포함하고 있었다. 중앙 장식판 아래에는 "세계 헤비급 챔피언"이라고 적혀 있었고 가운데 십자가가 있었으며, 별도의 가로 장식판에는 "WWWF"라고 적혀 있었다. 이것은 1972년에 다른 디자인으로 교체되었다. 빨간색 끈에 있는 이 버전에는 가장자리에 "WWWF 헤비급 레슬링 챔피언"이라고 적혀 있었고 중앙에는 독수리가 있었으며, 여섯 개의 측면 장식판은 여러 국가를 나타냈다. 1973년에는 또 다른 비슷한 디자인이 도입되었는데, 이것은 검은색 끈에 있었고 다르게 디자인된 독수리 위에 두 명의 레슬러가 있었다. 이 버전은 그 후 스탠 스타시아크, 브루노 사마르티노, 슈퍼스타 빌리 그레이엄(빨간색 가죽 변형 버전 착용) 그리고 밥 백런드가 보유했다. 후자의 통치 기간 동안 프로모션의 이름은 월드 레슬링 페더레이션(WWF)으로 단축되었지만, 챔피언십 벨트 자체에는 여전히 "WWWF"라고 적혀 있었다.[49][50]
5. 2. 1982-2005
1991년, NWA의 회원사인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은 NWA의 세계 타이틀을 대체하기 위해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설립했다.[5] 1993년, WCW는 NWA에서 탈퇴하여 WWF의 경쟁 프로모션으로 성장했다. 두 단체는 모두 주류로 성장하여 결국 텔레비전 시청률 전쟁인 월요일 밤의 전쟁에 휘말렸다. 시청률 전쟁이 끝날 무렵, WCW는 재정적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고, 2001년 3월 WWF가 WCW를 매입하면서 정점에 달했다.[5] 그 결과, WWF는 다른 자산들과 함께 WCW의 챔피언십을 인수했다. 따라서 WWF에는 원래의 WWF 챔피언십과 WCW 챔피언십(결국 "월드 챔피언십"으로 이름이 바뀜)이라는 두 개의 세계 타이틀이 있었다.[6][7]
2001년 12월, 두 챔피언십은 벤전스에서 통합되었다.[8] 이 이벤트에서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은 커트 앵글을 물리치고 WWF 챔피언십을 유지했고, 크리스 제리코는 더 락을 물리치고 월드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그 후 제리코는 오스틴을 물리치고 WWF 챔피언십과 월드 챔피언십을 통합하여 최초의 논쟁의 여지가 없는 WWF 챔피언이 되었다. 논쟁의 여지가 없는 챔피언십은 WWF 챔피언십의 계보를 유지했고, 월드 챔피언십은 폐지되었다.[8] 그 후, 빅 이글 벨트(이전에는 WWF 챔피언십을 나타냄)와 빅 골드 벨트(이전에는 월드 챔피언십을 나타냄)가 함께 사용되어 논쟁의 여지가 없는 챔피언십을 나타냈다.[9][10][11] 제리코는 레슬매니아 X8에서 트리플 H에게 패배할 때까지 4개월 동안 챔피언십을 보유했고, 트리플 H는 곧 단일 챔피언십 벨트를 받았다.[51]

무패 챔피언십은 첫 번째 브랜드 분할 초까지 계속되었고, 이로 인해 레슬러들은 회사의 주요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Raw''와 ''SmackDown''에 드래프트되었으며, 각 쇼는 동일한 이름의 브랜드를 나타내고 각 브랜드에 챔피언십이 할당되고 권한 있는 인물들이 임명되었다.[12] 무패 챔피언십 보유자는 두 쇼 모두에 출연할 수 있는 유일한 남성 레슬러였다.
2002년 5월, WWF는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WWE)(World Wrestling Entertainment)로 이름이 바뀌었고, 챔피언십도 그에 따라 이름이 바뀌었다. 처음에는 양쪽 브랜드의 레슬러들이 챔피언에게 도전할 수 있었기 때문에 챔피언십은 어느 브랜드에도 소속되지 않았다. 에릭 비쇼프와 스테파니 맥마흔이 각각 Raw와 SmackDown의 총괄 매니저로 임명된 후, 스테파니 맥마흔은 당시 무패 챔피언 브록 레스너를 SmackDown 브랜드 전용으로 만들도록 설득하여 Raw 브랜드에는 월드 타이틀이 없게 되었다.[13][14] 이에 대한 대응으로 9월 2일, 비쇼프는 레스너의 챔피언 지위에 이의를 제기하며 레스너가 지정된 1위 도전자인 트리플 H와의 타이틀 방어를 거부하고 있다고 말하고, 후자에게 새로 만들어진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수여했다. 바로 그 후, 레스너의 챔피언십은 "무패"라는 수식어를 빼고 WWE 챔피언십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5]
5. 3. 2005-2014
첫 번째 브랜드 분할 초기에 무패 챔피언십 보유자는 ''Raw''와 ''SmackDown'' 두 쇼 모두에 출연할 수 있었다.[12] 2002년 5월, WWF는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WWE)로 이름이 바뀌었고, 챔피언십도 그에 따라 이름이 변경되었다. 처음에는 양쪽 브랜드 레슬러들이 챔피언에게 도전할 수 있어 챔피언십은 어느 브랜드에도 소속되지 않았다.
에릭 비쇼프와 스테파니 맥마흔이 각각 Raw와 SmackDown의 총괄 매니저로 임명된 후, 스테파니 맥마흔은 당시 무패 챔피언 브록 레스너를 SmackDown 브랜드 전용으로 만들도록 설득하여 Raw 브랜드에는 월드 타이틀이 없게 되었다.[13][14] 이에 대한 대응으로 2002년 9월 2일, 비쇼프는 레스너의 챔피언 지위에 이의를 제기하며 레스너가 지정된 1위 도전자 트리플 H와의 타이틀 방어를 거부하고 있다고 말하고, 트리플 H에게 새로 만들어진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수여했다. 그 후, 레스너의 챔피언십은 "무패"라는 수식어가 빠지고 WWE 챔피언십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5]
첫 번째 브랜드 분할 기간 동안 WWE 챔피언십은 두 번 SmackDown 브랜드의 월드 타이틀로, 세 번 Raw 브랜드의 월드 타이틀로 사용되었다. 연례 드래프트 결과로 WWE 챔피언십의 소속 브랜드가 바뀌는 경우를 제외하면, WWE 챔피언십은 두 번 SmackDown 브랜드의 월드 타이틀로, 세 번 Raw 브랜드의 월드 타이틀로 사용되었다. 2006년 6월, WWE는 전직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 스타와 신인들이 경쟁하는 세 번째 브랜드 ECW를 설립했다. 2006년 6월 11일 ECW 원 나이트 스탠드에서 ECW의 롭 밴 댐이 WWE 챔피언십을 획득하면서 챔피언십은 잠시 ECW 브랜드의 월드 타이틀이 되었다. 롭 밴 댐이 타이틀을 획득한 후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 ECW 브랜드를 위해 재활성화되었다. 밴 댐은 다음 달 Raw의 엣지에게 WWE 챔피언십을 잃을 때까지 두 타이틀을 모두 보유했다. 2010년 ECW 브랜드가 해체되면서 ECW 챔피언십도 비활성화되었다. 2011년 4월, WWE는 전체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WWE" 약자가 고아 약어가 되었고, 그해 8월에 첫 번째 브랜드 분할이 끝났다.
첫 번째 브랜드 분할이 끝나기 직전, 스토리라인에서 CM 펑크는 계약이 만료되는 2011년 7월 17일 2011 머니 인 더 뱅크 페이퍼뷰에서 WWE 챔피언십을 가지고 회사를 떠나겠다고 맹세했다. 이 이벤트에서 펑크는 당시 챔피언 존 시나를 물리치고 타이틀을 획득하여 챔피언 벨트를 가지고 회사를 떠났다. 그 후 챔피언십은 공석이 되었고, 레이 미스테리오가 8인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더 미즈를 꺾고 새로운 WWE 챔피언이 되었지만, 같은 날 밤 시나에게 패하며 시나는 기록적인 9번째 통치를 달성했다. 펑크는 자신의 챔피언십 벨트를 가지고 WWE로 돌아와 시나의 타이틀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16] 두 WWE 챔피언은 섬머슬램에서 맞붙었고, 펑크가 시나를 꺾고 타이틀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확고히 했다.
2011년 8월 첫 번째 브랜드 분할이 끝난 후, WWE 챔피언과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은 모두 ''Raw''와 ''SmackDown''에 출연할 수 있었다. 2013년 11월, 서바이버 시리즈 다음 날, 당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존 시나가 당시 WWE 챔피언 랜디 오턴에게 WWE의 무적 세계 챔피언을 가리기 위한 도전을 했다. 2013년 12월 15일 TLC: 테이블스, 래더스 & 체어스 페이퍼뷰에서 오턴은 TLC 매치로 시나를 꺾고 타이틀을 통합했다. 이후 통합된 챔피언십은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WWE 챔피언십의 계보를 유지했으며,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폐지되었다.[17] 오턴과 그 이후 챔피언들은 2014년 8월 브록 레스너가 챔피언이 될 때까지 두 개의 챔피언십 벨트를 모두 소지했다.[55]
5. 4. 2014-현재
2011년 8월 첫 번째 브랜드 분할이 끝난 후, WWE 챔피언과 월드 헤비급 챔피언은 모두 ''Raw''와 ''SmackDown''에 출연할 수 있었다. 2013년 11월, 서바이버 시리즈 다음 날, 당시 월드 헤비급 챔피언 존 시나는 당시 WWE 챔피언 랜디 오턴에게 WWE의 무적 세계 챔피언을 가리기 위한 도전을 했다. 오턴은 2013년 12월 15일 TLC: 테이블스, 래더스 & 체어스 페이퍼뷰에서 TLC 매치로 시나를 물리쳐 타이틀을 통합했다. 이후 통합된 챔피언십은 WWE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WWE 챔피언십의 계보를 유지했으며,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은 폐지되었다.[17] 오턴과 그 이후 챔피언들은 2014년 8월 브록 레스너가 챔피언이 될 때까지 두 개의 챔피언십 벨트를 모두 소지했다.[55]
2016년 6월, 딘 앰브로스가 챔피언이 된 후 타이틀 이름은 WWE 챔피언십으로 되돌아갔다.[18][19][20] 다음 달 브랜드 분할이 다시 이루어짐에 따라 앰브로스는 SmackDown으로 드래프트되었다. 앰브로스는 7월 24일 배틀그라운드에서 Raw 드래프티 세스 롤린스와 로만 레인스를 상대로 타이틀을 방어하여 타이틀을 SmackDown 전용으로 만들었다.[21] 7월 25일 ''Raw'' 방송에서 브랜드를 위한 월드 타이틀 부재를 해결하기 위해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이 만들어졌고, 핀 밸러가 섬머슬램에서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22] 유니버설 타이틀 공개 후 WWE 챔피언십은 WWE 월드 챔피언십으로 이름이 바뀌었지만,[23][24] 2016년 12월 AJ 스타일스의 첫 번째 통치 기간 동안 WWE 챔피언십으로 되돌아갔다.[25]
AJ 스타일스는 진더 마할을 물리치고 2017년 11월 7일 ''SmackDown'' 영국 맨체스터 방송에서 두 번째 WWE 챔피언십을 획득하면서 북미 이외 지역에서 처음으로 타이틀이 바뀌었다. 이는 또한 거의 15년 만에 ''SmackDown'' 방송에서 챔피언십이 바뀐 것으로, 마지막으로 브록 레스너가 2003년 커트 앵글을 꺾고 타이틀을 획득했을 때였다.[26]
2019년 10월 31일 크라운 주얼에서 SmackDown 레슬러 “더 피엔드” 브레이 와이어트가 유니버설 챔피언십을 획득하여 타이틀을 SmackDown으로 이전했다. 또한 같은 대회에서 당시 WWE 챔피언 브록 레스너가 케인 벨라스케즈를 물리치고 타이틀을 방어한 후, 몇 주 전에 레스너가 공격했던 Raw의 레이 미스테리오의 공격을 받았다.[27] 다음 날 ''프라이데이 나이트 스맥다운''에서 레스너는 SmackDown을 그만두고 미스테리오와의 앙숙을 계속하기 위해 Raw로 갔고, 따라서 WWE 챔피언십은 Raw로 이전되었다.[28]
레슬매니아 38 2일차인 2022년 4월 3일, 스맥다운의 유니버설 챔피언 로만 레인스는 당시 WWE 챔피언이었던 브록 레스너를 승자독식 경기에서 물리치고 두 개의 세계 챔피언십을 모두 차지하여 통합 WWE 유니버설 챔피언으로 인정받았다. WWE는 이 경기를 챔피언십 통합 경기로 홍보했고, 레인스는 두 개의 타이틀을 모두 통합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으로서 양 브랜드를 넘나들며 방어하는 더블 챔피언이 되었다.[29] 2023년 4월 24일 ''Raw'' 방송에서 WWE 최고 콘텐츠 책임자인 트리플 H는 레인스가 2023 WWE 드래프트에서 어느 브랜드로 배정되든, 그와 그의 통합 챔피언십은 그 브랜드에 독점적으로 속하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후 트리플 H는 레인스의 통합 챔피언십에 상응하는 반대 브랜드를 위한 새로운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공개했으며, 이 타이틀은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에서 세스 "프리킨" 롤린스가 획득했다.[30][31] 레인스가 스맥다운으로 배정되었으므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Raw에 독점적으로 속하게 되었다.[32]
2023년 6월 2일 ''SmackDown'' 방송에서 트리플 H는 레인스에게 통합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을 나타내는 새로운 단일 챔피언십 벨트를 수여했다.[33] 계보에 대한 혼란 속에서, ''Fightful''은 WWE가 두 챔피언십은 여전히 별개의 계보이며 하나의 벨트로 표현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34] 이것은 WWE.com에서도 확인되었는데, 레인스와 코디 로즈(그는 레슬매니아 XL에서 레인스를 물리쳤다) 모두 통합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이 아닌 개별 타이틀의 챔피언으로 표시되었으며, 로즈가 타이틀을 획득한 후에는 통합 WWE 챔피언십으로 약칭되었다.[35][36]
6. 기타
특정 챔피언의 업적을 기념하거나 그들의 캐릭터(기믹)에 맞추기 위해 맞춤형 챔피언십 벨트가 제작되었다. 1986년 호건(Hogan)이 챔피언이었을 때, 그는 가운데에 자신의 사진이 들어간 수정된 버전의 호건 '86 벨트를 사용했다. 레슬매니아 III 전에 앙드레 더 자이언트를 위해 호건 '86 챔피언십 벨트와 유사한 훨씬 더 큰 버전이 만들어졌지만, 그는 챔피언으로서 이 벨트를 착용하지 않았다.[73][49]
"스톤콜드" 스티브 오스틴은 두 번째 통치 기간(1998년) 동안 그의 "스모킹 스컬" 로고와 방울뱀이 포함된 맞춤형 챔피언십 벨트를 사용했다. 이에 대한 답으로 더 락(The Rock) 또한 그의 상징적인 "브라마 불" 로고를 포함한 맞춤형 챔피언십 벨트를 디자인하고 제작했지만, 크리에이티브적인 이유로 TV에 등장하지 않았다.[74] 스피너 벨트는 원래 존 시나를 위한 맞춤형 벨트였으며, 2005년부터 2013년까지 표준 타이틀 벨트로 남아 있었다. 에지(Edge)의 2006년 두 번째 통치 기간 동안 그는 WWE 스크래치 로고를 자신의 "레이티드 R 슈퍼스타" 로고로 바꾼 자신의 변형인 "레이티드 R 스피너" 디자인을 선보였다. 에지는 완전히 새로운 맞춤형 디자인을 스케치했지만, 창작적인 차이로 인해 제작되지 않았다.[75][49] 다니엘 브라이언의 네 번째 통치 기간(2018~2019년) 동안 그는 환경 운동가 힐 기믹의 일환으로 표준 타이틀 벨트를 쓰레기통에 버리고 "플래닛 챔피언십"이라는 새로운 맞춤형 벨트를 소개했다.[77]
2014년 10월, WWE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게 2014년 월드 시리즈 우승을 기념하여 "네트워크 로고" 벨트의 복제품을 증정했다.[78][79] 이는 WWE의 전통이 되었고, 이후 프로 스포츠 우승자들에게 업적을 기념하는 측면 판이 새겨진 맞춤형 WWE 챔피언십 벨트를 제작했다. 또한, 각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달성한 사람들에게도 맞춤형 벨트를 증정했다.[80]
WWE는 2014년 최초 증정 이후, 다음 스포츠 대회의 우승자들에게 맞춤형 WWE 챔피언십 벨트를 증정했다.
스포츠 | 대회 |
---|---|
야구 | 월드 시리즈[82][83][84][85][86][87], 메이저리그 야구 홈런 더비[112] |
미식축구 | 슈퍼볼[88][89][90][91][92], 칼리지 풋볼 플레이오프 내셔널 챔피언십[100] |
농구 | NBA 파이널[93][94][95][96][97][98] |
여자 축구 | FIFA 여자 월드컵[99] |
아이스하키 | 스탠리컵 결승[101][102][103][104] |
테니스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105], 남자 US 오픈[117] |
축구 | 프리미어리그[106][107], 분데스리가[108], 리가 MX[110],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111], UEFA 챔피언스리그[114] |
크리켓 | 인디언 프리미어리그[109], 크리켓 월드컵[116] |
캐나다 풋볼 | 그레이 컵[118] |
포뮬러 원 |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113] |
e스포츠 | 오버워치 리그[115] |
또한, 런던 경찰관 찰리 구니골트에게 2017년 런던 브리지 테러 당시의 용기를 보여준 공로로,[119] WWE 트리뷰트 투 더 트룹스 개최를 지원하고 국가에 헌신한 미국 군인들에게도 벨트를 증정했다.[120][121][122][123] 2020년에는 프랑스의 WWE 아나운서 크리스토프 아지우스와 필립 셰로에게도 WWE 챔피언십 벨트를 증정했다.[124] 2023년 6월 논쟁의 여지 없는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 벨트가 도입되면서, WWE는 이후 이 벨트의 맞춤형 버전을 증정하고 있다.[125]
2021년과 2023년에 각각 WWE는 NBA 및 NFL과의 이중 파트너십을 발표하여 각 챔피언십 경기 우승자에게 맞춤형 WWE 레거시 챔피언십 벨트를 증정했다.[126]
참조
[1]
웹사이트
The 5 shortest WWE Title reigns in history
http://www.wwe.com/a[...]
2016-06-26
[2]
웹사이트
The Magnificent Seven: The Top 7 Most Prestigious American Wrestling Championships of All Time
https://411mania.com[...]
2018-02-20
[3]
웹사이트
Rogers' 1st reign
https://web.archive.[...]
WWE
2014-11-09
[4]
서적
National Wrestling Alliance: The Untold Story of the Monopoly that Strangled Pro Wrestling
ECW Press
2007
[5]
웹사이트
WWE Entertainment, Inc. acquires WCW from Turner Broadcasting
https://web.archive.[...]
WWE Corporate
2008-05-24
[6]
웹사이트
WWE Raw Results
https://www.onlinewo[...]
2015-11-10
[7]
웹사이트
Monday Night Raw – November 19, 2001: That's One Heck Of A Reset
https://kbwrestlingr[...]
2015-11-10
[8]
웹사이트
WCW World Champion – Chris Jericho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The complex history of WWE's era of unification
https://www.wwe.com/[...]
2013-09-05
[10]
웹사이트
WWWF/WWF/WWE World Heavyweight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07-03-18
[11]
웹사이트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 turns five years old
https://www.wwe.com/[...]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08-12-23
[12]
웹사이트
WWE Entertainment To Make RAW and SMACKDOWN Distinct Television Brands
https://web.archive.[...]
2009-04-26
[13]
웹사이트
Brock Lesnar Biography at SLAM! Sports
https://archive.toda[...]
Canadian Online Explorer
2008-12-21
[14]
웹사이트
Vince Mcmahon Biography at SLAM! Sports
https://archive.toda[...]
Canadian Online Explorer
2008-12-21
[15]
웹사이트
Full WWE RAW Results – 9/2/02
https://www.wrestlev[...]
WrestleView
2008-12-20
[16]
웹사이트
SmackDown results: Truth and Consequences
https://www.wwe.com/[...]
WWE
2011-07-30
[17]
웹사이트
CALDWELL'S WWE TLC PPV RESULTS 12/15: Live, in-person coverage of Cena vs. Orton unification match from Houston
https://pwtorch.com/[...]
[18]
웹사이트
Future of top WWE championship already hinted at
https://www.pwinside[...]
2016-06-29
[19]
웹사이트
Seth Rollins addressed 'The Roman Reigns Scandal'
https://www.wwe.com/[...]
WWE
2016-07-27
[20]
웹사이트
WWE Championship
https://www.wwe.com/[...]
WWE
2016-06-29
[21]
웹사이트
7/24 WWE Battleground Results – Caldwell's Complete Report
https://www.pwtorch.[...]
Pro Wrestling Torch
2016-07-27
[22]
웹사이트
WWE Raw live results: title match set for SummerSlam & a new champion is crowned
https://www.f4wonlin[...]
Wrestling Observer
2016-07-27
[23]
웹사이트
WWE SmackDown Live results, July 26, 2016
https://www.wwe.com/[...]
WWE
2016-07-27
[24]
웹사이트
WWE World Championship
https://www.wwe.com/[...]
WWE
2016-07-27
[25]
웹사이트
WWE Championship
https://www.wwe.com/[...]
WWE
2016-12-13
[26]
웹사이트
Keller's WWE SmackDown Report 11/7: Jinder vs. Styles for WWE Title, Usos vs. Jordan & Gable for Tag Team Titles
https://www.pwtorch.[...]
2017-11-07
[27]
웹사이트
WWE Crown Jewel results: Powell's live review of Brock Lesnar vs. Cain Velasquez for the WWE Championship, Seth Rollins vs. Bray Wyatt in a Falls Count Anywhere match for the WWE Universal Championship, Braun Strowman vs. Tyson Fury, Lacey Evans vs. Natalya
https://prowrestling[...]
2019-10-31
[28]
웹사이트
WWE SmackDown results, recap, grades: Shocking NXT invasion, Brock Lesnar quits and moves to Raw
https://www.cbssport[...]
2023-03-04
[29]
웹사이트
WrestleMania 38 results: Powell's live review of night two with Roman Reigns vs. Brock Lesnar for the Unified WWE Championship, RK-Bro vs. The Street Profits vs. Alpha Academy for the Raw Tag Titles, Edge vs. AJ Styles, Johnny Knoxville vs. Sami Zayn in an Anything Goes match, Pat McAfee vs. Austin Theory, Bobby Lashley vs. Omos
https://prowrestling[...]
2022-04-03
[30]
웹사이트
Paul Levesque unveils new World Heavyweight Title, champion to be crowned at WWE Night of Champions
https://www.postwres[...]
2023-04-25
[31]
웹사이트
4/24 WWE Raw results: Keller's report on Triple H announcement, Bad Bunny appearing in person, Rey vs. Priest
https://www.pwtorch.[...]
2023-04-24
[32]
웹사이트
WWE SmackDown live results: The WWE Draft begins
https://www.f4wonlin[...]
2023-04-28
[33]
웹사이트
WWE unveils new Undisputed WWE Universal Championship belt
https://www.f4wonlin[...]
2023-06-05
[34]
웹사이트
More on WWE streamlining titles, future plans
https://www.patreon.[...]
2023-06-11
[35]
웹사이트
WWE Championship
http://www.wwe.com/t[...]
2024-04-12
[36]
웹사이트
Universal Championship
http://www.wwe.com/t[...]
2024-04-17
[37]
웹사이트
Draft History
https://www.wwe.com/[...]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07-06-07
[38]
웹사이트
WWE's destiny to be determined during SmackDown's LIVE premiere
https://www.wwe.com/[...]
WWE
2016-06-20
[39]
웹사이트
WWE Championship name change official, Bellas and more news
https://pwinsider.co[...]
2016-06-28
[40]
웹사이트
Full WWE RAW Results - 9/2/02
https://www.wrestlev[...]
2002-09-02
[41]
웹사이트
2005 WWE Draft Lottery
https://www.wwe.com/[...]
WWE
2005-06-13
[42]
웹사이트
ECW On Sci-Fi – June 13, 2006 – Debut Episode, Complete With A Zombie
https://kbwrestlingr[...]
2011-06-26
[43]
웹사이트
Edge reclaims WWE Championship
https://www.wwe.com/[...]
WWE
2006-07-04
[44]
웹사이트
CALDWELL'S WWE RAW REPORT 6/23: Ongoing "virtual time" coverage of live three-hour Draft Raw
https://pwtorch.com/[...]
Pro Wrestling Torch
2008-06-23
[45]
웹사이트
Rough Draft
https://www.wwe.com/[...]
WWE
2009-04-13
[46]
웹사이트
From The Garden to an attic: How the original WWE Title was lost for 50 years — and found
https://www.wwe.com/[...]
2013-03-16
[47]
웹사이트
IPWHF to enshrine Bruno Sammartino title belt, 'holy grail' of pro wrestling artifacts
https://www.prowrest[...]
2022-06-04
[48]
웹사이트
BRUNO'S BELT
https://www.prowrest[...]
[4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WWE Championship
http://www.wwe.com/c[...]
2013-02-15
[50]
비디오
WWE's rare WWE Title collection revealed!
https://m.youtube.co[...]
YouTube
2023-04-27
[51]
웹사이트
The unification of the WWE Championship and WCW Championship
https://www.wwe.com/[...]
WWE
[52]
웹사이트
The making of the new WWE Title: How the WWE Championship was reinvented in 540 days
https://www.wwe.com/[...]
2013-02-13
[53]
웹사이트
Check Out – a Full Look at the New WWE Heavyweight Title
https://www.411mania[...]
[54]
웹사이트
WWE Champions
https://www.wwe.com/[...]
WWE
[55]
웹사이트
Brock Lesnar receives the new WWE title belt on 'Monday Night Raw'
https://ftw.usatoday[...]
USA Today
2014-08-19
[56]
웹사이트
All-new WWE Women's Championship introduced at WrestleMania
https://www.wwe.com/[...]
2016-04-03
[57]
웹사이트
New WWE Women's Championship belt presented to Asuka
https://www.postwres[...]
2023-06-09
[58]
웹사이트
WWE Raw Results – 7/25/16 (Live from Pittsburgh, fallout from Battleground, new era of Raw begins)
https://www.wrestlev[...]
2016-07-25
[59]
웹사이트
Daniel Bryan to reveal two new championships exclusive to Smackdown Live tonight from Connecticut
https://www.wrestlev[...]
2016-08-23
[60]
웹사이트
Rhea Ripley Crowned Women's World Champion, Given New Title Belt On 6/12 WWE Raw
https://www.fightful[...]
2023-06-12
[61]
웹사이트
WWE to crown first United Kingdom Champion in January
https://www.f4wonlin[...]
2016-12-15
[62]
웹사이트
WWE announces NXT UK brand with two additional championships to be introduced
https://www.postwres[...]
2018-06-18
[63]
방송
Monday Night Raw
USA Network
2016-06-20
[64]
방송
SmackDown Live
USA Network
2016-12-06
[65]
방송
SmackDown Live
USA Network
2016-07-26
[66]
페이퍼뷰
Battleground
WWE Network
2016-07-24
[67]
페이퍼뷰
SummerSlam
WWE Network
2016-08-21
[68]
방송
SmackDown Live
USA Network
2016-12-20
[69]
웹사이트
WWE SmackDown TV Results (7/28): McDonald's "alt perspective" report on Roman Reigns and Jey Uso face to face, Mysterio vs. Escobar U.S. Title Invitational Final, Anderson vs. Kross
https://www.pwtorch.[...]
2023-07-29
[70]
웹사이트
Saturday Night's Main Event: Chelsea Green makes history during nostalgia-fueled night on Long Island
https://slamwrestlin[...]
2024-12-15
[71]
웹사이트
Cody Rhodes sports Winged Eagle Championship for title defense against Kevin Owens at WWE Saturday Night's Main Event
https://www.postwres[...]
2024-12-20
[72]
웹사이트
WWE Saturday Night’s Main Event fails to meet nostalgic expectations
https://www.cageside[...]
2024-12-20
[73]
간행물
7 Championship Secrets Finally Revealed
WWE Magazine
2009-07
[74]
웹사이트
Seven Rare Championships from the WWE Vault
https://www.wwe.com/[...]
2012-09-13
[75]
웹사이트
Edge Interview
https://sports.ign.c[...]
2006-11-18
[76]
웹사이트
Edge HATED The Rated R Spinner Belt
https://www.youtube.[...]
YouTube
2024-05-13
[77]
웹사이트
Daniel Bryan's eco-friendly WWE Championship: photos
https://www.wwe.com/[...]
2019-01-30
[78]
웹사이트
San Francisco Giants celebrate with the WWE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
https://www.wwe.com/[...]
2017-05-31
[79]
웹사이트
Daniel Bryan joins the San Francisco Giants World Series Parade: photos
https://www.wwe.com/[...]
2017-05-31
[80]
웹사이트
Custom WWE World Championships in the sports world: photos
https://www.wwe.com/[...]
2019-11-29
[81]
웹사이트
Triple H sends custom title to WNBA Champions Seattle Storm
https://www.wwe.com/[...]
2018-09-26
[82]
트윗
Congrats to the 2015 MLB World Series Champions the Kansas City Royals!
2015-11-02
[83]
트윗
Congrats to the Chicago Cubs on a long-awaited (and well-deserved) World Series win. We got you something for the celebration... Enjoy It
2016-11-03
[84]
트윗
Congrats to the Astros on an amazing World Series win. WWE looks forward to celebrating with Houston at Survivor Series. Bring this along!
2017-11-02
[85]
웹사이트
Triple H sends custom WWE Championship to the 2018 World Series Champion Boston Red Sox
https://www.wwe.com/[...]
2019-11-28
[86]
트윗
A back-and-forth World Series that crowned new MLB Champions for their very first time. Congratulations to the Washington Nationals on your historic win. Time to bring the celebration to DC!
2019-10-31
[87]
트윗
Congratulations to @solerpower12, @austinriley1308 & the entire @Braves organization on an incredible #WorldSeries victory. Enjoy this custom #WWETitle for the celebration! #BattleATL
2021-11-03
[88]
트윗
WWE Title on its way to Gillette Stadium for Patriots parade! Congrats Rob Gronkowski, Julian Edelman, Super Bowl Champs
2015-02-03
[89]
트윗
Congratulations to the Denver Broncos on winning Super Bowl 50! We have something coming your way shortly... Champs Are Here
2016-02-07
[90]
트윗
A never-say-quit team, a football dynasty, and an amazing Super Bowl 51. Congrats Patriots, this title is coming to New England!!
2017-02-06
[91]
트윗
To quote Zach Ertz, you're "the World Champions" .... so you need a World Title! Congratulations Eagles!
2018-02-05
[92]
웹사이트
Triple H congratulates New England Patriots' Super Bowl LIII victory with custom WWE Championship
https://www.wwe.com/[...]
2019-11-28
[93]
웹사이트
Golden State Warriors celebrate 2015 NBA Championship with WWE World Heavyweight Title
https://www.wwe.com/[...]
2018-06-09
[94]
트윗
An unprecedented comeback and a long overdue NBA Championship... THAT is something to celebrate. Congrats Cavs!
2016-06-20
[95]
트윗
The NBA Championship is back in the Bay...and Kevin Durant is going to have his hands full with all this gold. Congratulations Warriors!
2017-06-13
[96]
웹사이트
Golden State Warriors celebrate 2018 NBA Championship with custom WWE Title
https://www.wwe.com/[...]
2018-06-09
[97]
트윗
Congrats to Kyle Lowry, Kawhi Leonard and the entire Raptors organization on bringing their first NBA title to Toronto! Can't wait to celebrate with all of you at SummerSlam, August 11 Scotiabank Arena. Until then, enjoy this WWE Championship!
2019-06-14
[98]
뉴스
Triple H Sends WWE Championship Belt to LeBron James, Lakers After Finals Win
https://bleacherrepo[...]
Bleacher Report
2020-10-12
[99]
웹사이트
Megan Rapinoe celebrates with the WWE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
https://www.wwe.com/[...]
2017-05-31
[100]
웹사이트
Sheamus delivers WWE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 to Notre Dame Football
https://www.wwe.com/[...]
2017-05-31
[101]
트윗
Congratulations to the Stanley Cup Champion Penguins! Can never go wrong w/ an HBK Line! Title Coming Your Way
2016-06-13
[102]
트윗
Back-to-back NHL Champions...gonna need a bigger trophy case in Pittsburgh. Congratulations to the Penguins!
2017-06-12
[103]
웹사이트
Washington Capitals celebrate 2018 Stanley Cup with custom WWE Championship
https://www.wwe.com/[...]
2018-06-08
[104]
웹사이트
St. Louis Blues celebrate 2019 Stanley Cup with custom WWE Championship
https://www.wwe.com/[...]
2019-11-28
[105]
웹사이트
Triple H tweets out a WWE Championship with custom plates for Serena Williams
https://www.wwe.com/[...]
2019-11-28
[106]
웹사이트
WWE sends custom title to Premier League Champions
https://www.wwe.com/[...]
2017-05-20
[107]
뉴스
Triple H sends custom WWE Title to Premier League Champions Manchester City
https://www.wwe.com/[...]
2018-05-06
[108]
트윗
From WWE to FC Bayern München: Five years at Bundesliga... ....ONE Champion! This is headed your way David Alaba & Franck Ribéry
2017-06-06
[109]
트윗
Mumbai Indians and Rohit Sharma, as promised, the WWE Title is on its way... Congratulations!
2017-07-13
[110]
트윗
Felicidades a las Chivas por la #12 Here is something to help with the Championship celebration...
2017-07-24
[111]
웹사이트
Triple H sends custom WWE Title to Argentinian Primera División League champions Boca Juniors
https://www.wwe.com/[...]
2017-06-25
[112]
트윗
Champions deserve championship belts. WWE stars stopped by to award Aaron his belt for the HR Derby.
2017-08-15
[113]
트윗
From us at WWE to F1 Champion Lewis Hamilton, finish the season strong at the Abu Dhabi Grand Prix...hope to see you when WWE comes to Abu Dhabi on December 7 & 8.
2017-11-24
[114]
웹사이트
Triple H sends custom WWE Title to Champions League winners Real Madrid
https://www.wwe.com/[...]
2018-07-30
[115]
트윗
After an exceptional resurgence, history was captured at the Overwatch League's First Finals. Congrats London Spitfire and Cloud9! Jack Etienne, this custom title is coming to you!
2018-09-13
[116]
트윗
An incredible tournament, an awe-inspiring final, and a team of worthy champions. Congratulations to England Cricket for winning the ICC Men's Cricket World Cup 2019! This custom WWE Championship is YOURS!
2019-07-19
[117]
트윗
An incredible end to 4 HOURS and 50 MINUTES in the finals of the US Open. Congratulations to Rafael Nadal…this custom WWE Championship should help celebrate your 19th Grand Slam Title!
2019-09-09
[118]
웹사이트
Triple H Sends Custom Title to CFL Grey Cup Champions the Winnipeg Blue Bombers
https://www.foxsport[...]
2020-01-18
[119]
웹사이트
Triple H visits London police officer wounded in London Bridge attack
https://www.wwe.com/[...]
2017-06-20
[120]
트윗
Honored to present a Troops WWE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 to Captains Stacey K. Wright and Scott Gray at US Navy
2015-12-08
[121]
트윗
This Championship is in recognition of all you do for our country. Thank you Cmd. Sgt Troxell, Elaine Rogers & Maj. Gen. Becker
2016-12-13
[122]
트윗
Thank you to Captain Roy Love, Commanding Officer of US Navy Base San Diego and his staff for hosting Tribute to the Troops and helping WWE honor our armed forces today and always.
2017-12-05
[123]
트윗
Thank You to Major General Felix Gedney, Colonel Henry Perry, and all the servicemen and women at Ft. Hood for allowing us to host Tribute to the Troops this morning and for your continued service to our country.
2018-12-04
[124]
웹사이트
20 ans de Christophe Agius et Philippe Chéreau : la WWE leur offre une ceinture personnalisée
https://catch-newz.c[...]
2020-02-19
[125]
트윗
It's that time of year when the @Chiefs break out the hardware… big congrats to the back-to-back champs!
2024-02-13
[126]
웹사이트
WWE Announces Merchandise Partnership With The NFL
https://www.wrestlin[...]
2023-08-28
[127]
웹사이트
WWE Championship
https://www.wwe.com/[...]
WWE
[128]
웹사이트
Bruno Sammartino
https://www.wwe.com/[...]
WWE
[129]
웹사이트
WWWF/WWF/WWE World Heavyweight Title
http://www.wrestling[...]
Wrestling-Titles.com
[130]
서적
Gスピリッツ Vol.39
辰巳出版
2016
[131]
서적
Gスピリッツ Vol.40
辰巳出版
2016
[132]
서적
Gスピリッツ Vol.41
辰巳出版
2016
[133]
서적
Gスピリッツ Vol.42
辰巳出版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